산업MZ세대를 중심으로 ‘가치소비’ 확산MZ 세대를 중심으로 '가치소비'가 새로운 소비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가치소비란 소비자가 광고나 이미지에 휘둘리지 않고 본인의 가치 판단을 기준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방식이다.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는 단순 가격이나 제품의 품질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맞는 제품을 소비한다.가치소비는 그 주제가 어느 한 가지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친환경, 인권, 동물권, 공정, 윤리 등 소비의 기준은 다양하다. 고체 치약과 대나무 칫솔, 버려진 천막과 자동차 방수포 등을 재활용하여 만든 가방, 유기견 구조 및 보호에 후원하는 브랜드 상품 구매와 같은 소비는 모두 가치소비라 할 수 있다.친환경 제품 세트 (천연수세미, 대나무 칫솔, 비누망, 샤워타올 등). 촬영 = 김은지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중인 가치소비가치소비는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중이다. 친환경 제품 관련 회사에 근무 중인 백서연(여, 24) 씨는 “가치소비에 대한 MZ세대의 관심을 실감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백씨는 “주요 소비층은 20~40대 여성이며, 비건과 친환경 라이프 스타일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고객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현재 MZ세대는 소비의 중심이자 유행을 선도하는 세대로 소비시장의 주 고객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신 트렌드에 민감한 이들은 자신의 소비를 SNS로 공유한다. 가치소비 역시 SNS를 통해 더욱 널리 퍼졌다.또한 22년 3월 출간된 정철희의 가치소비와 관련한 논문에 따르면, “MZ세대는 함께 기뻐하고, 함께 분노하고, 생각을 직접 행동으로 옮기고 그것을 표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MZ세대는 본인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물건을 구매하고 과감히 소비한다’라고도 했다. 더 나아가, MZ세대는 본인의 생각과 방식을 SNS에 공유하고 주변인이 이에 동참해 주기를 적극 권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MZ세대가 SNS를 통해 가치소비 활동과 의견을 가장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비건 인증 받은 화장품(립밤, 립틴트, 립스틱, 쿠션파운데이션) 촬영 = 김은지이들은 왜 가치소비를 지향하나?MZ세대는 수많은 대체재가 넘쳐나더라도 자신과 지향하는 바가 같은 기업의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자신의 가치관을 표출하는 것을 선호한다.MZ세대 강정은(여, 25) 씨는 “평소 환경 문제와 동물권에 관심을 두고 있었고, 친구가 친환경 제품을 추천해 줬다”며 가치소비를 시작한 계기를 밝혔다. 또한 강 씨는 “가치소비에 단순히 관심을 가지는 것을 넘어서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가치소비를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두 종료의 천연 수세미와 수세미 받침대. 촬영 = 김은지또 다른 MZ세대 김시내(여, 24) 씨도 “같은 돈을 쓸 거라면 남들과 비슷한 제품을 사더라도 의미 있는 소비를 하고 싶었다”며 가치소비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했다. 더 나아가 김 씨는 소비하는 과정에서 가치관을 한 번 더 확립하고 정체성을 굳혀나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 가치소비의 매력이라고도 했다.이를 통해 MZ세대는 가치에 부합하는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드러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들은 소비를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문제 해결에 앞장서기도 한다.김시내 씨는 “적은 금액이지만 나의 소비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직간접적으로 줄 수 있는 것도 좋았다”고 경험담을 들려주기도 했다. 지속 가능성과 공정함을 중요시 생각하는 젊은 청년층 사이에서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낳는 가치소비가 큰 매력으로 다가왔을 것이라며 MZ세대가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버려진 천막과 자동차 방수포 등을 재활용한 가방과 지갑. 촬영=김은지이처럼 MZ세대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본인의 신념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단지 신념을 드러내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은 지속 가능한 활동에 함께하며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고 더 나아가 가치소비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도 한몫하는 것에 큰 가치를 둔다. MZ세대의 이러한 특성은 앞으로 더욱 확산할 것이며 소비 시장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