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첫 섭식장애 인식주간, 우리 주변의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해

reorder search

저널리즘 chevron_right 교육

대한민국 첫 섭식장애 인식주간, 우리 주변의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해

  • 2023-02-24 14:41:50
  • 1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URL

몰랐어요, 내가 왜 먹토를 반복하는지...
섭식장애 인식주간 (2월 24일 ~ 3월 2일까지) 국내 첫 행사 열려
섭식장애는 생물적·심리적·사회적 질병이라는 인식 캠페인과 함께해야

Eating Disorder Awareness Week Lighting Campaign. nationaleatingdisorders.org
 매년 2월 마지막 주에는 미 전역의 많은 건물들이 파란색과 녹색으로 점등됩니다. 뉴욕의 상징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시카고의 존 핸콕 타워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랜드마크들이 섭식 장애 인식 주간(EDAW)을 기리기 위해 시그니처 색 등을 밝히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생소할 수 있는 섭식장애는 신경성 폭식증(과식에 대한 불안으로 설사약이나 이뇨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거나 구토와 같은 제거 행동을 하는 증상), 신경성 식욕부진증(거식증) 의 증상을 가지며, 심리적 ·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음식을 섭취하는 데 문제를 겪는 질환을 뜻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17~21년) 사이 해당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총 1만 명에 달하며, 21년은 17년에 비해 40%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영국 섭식장애 인식주간27th February – 5th March. Beat 제공 


미국 섭식 장애 인식주간. NEDA 출처 

각국 도시의 랜드마크들이 섭식장애의 지지를 밝히는 방법

 섭식 장애 인식 주간(Eating Disorder Awareness Week)은 섭식 장애의 현실에 대해 대중을 교육하고 섭식 장애의 영향을 받는 개인과 가족에게 희망, 지원 및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한 연례 캠페인입니다. 2023년 미국의 EDAW는 2월 27일 월요일부터 3월 5일 일요일까지 열려 더 많은 사람들이 변화의 시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섭식 장애 인식 주간은 각계각층의 개인이 공동으로 노력하는 행사입니다. 

 미국 도시의 조명 캠페인은 섭식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지역 사회에 대한 따뜻한 지원을 보여줍니다. 조명 캠페인은 섭식 장애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이러한 심각한 질병의 영향을 받는 개인과 가족을 위한 빛, 희망, 연결 및 커뮤니티의 등대 역할도 합니다. 

 미국뿐만이 아닌 캐나다의 섭식장애인식주간의 2월 1일부터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미국과는 다른 보라색으로 표현되어 랜드마크 불빛을 밝히고 있습니다. 

캐나다 섭식장애인식주간 캠페인 silverliningsfoundation 제공
섭식장애 인식개선 캠페인 
 
 섭식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중 대표적인 섭식장애 인식 주간은 1980년대부터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 시작된 행사입니다.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이 필요한 이유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섭식장애를 청소년이나 여성들의 무리한 다이어트에서 시작된 것으로 인식되어 큰 장애라는 것을 인식하지 않으며, 먹는 거 하나 조절하지 못한다는 쉬운 인식 때문에 섭식장애를 겪고 있더라도, 주변에 도움을 청하기 망설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사회적인 고립과 식에 대한 집착, 거부감이 심해져 큰 사회적인 문제로 야기됩니다. 


굿네이버스 마르지않아도 좋아요 캠페인 굿네이버스 웹캡쳐
 굿네이버스의 마르지 않아도 좋아요 캠페인은 미디어에 쉽게 노출되는 아동들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다이어트 정보 그중에서도 마른 몸을 위한 먹토, 씹뱉, 개말라 인간 등의 콘텐츠 모방을 염려하고,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한 미디어 어린이 보호구역 캠페인입니다.  

 섭식 장애는 10대 등 청년기에 주로 발생하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으면 더 건강한 식습관으로 돌아갈 수 있고, 섭식 장애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섭식 장애는 생물적-심리적-사회적 질병(bio-psycho-social disease)

 섭식 장애는 건강, 감정 및 삶의 중요한 영역에서 기능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식습관과 관련된 심각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가장 흔한 섭식 장애는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폭식증 및 폭식 장애입니다. 대부분의 섭식 장애는 체중, 체형 및 음식에 지나치게 집중하여 위험한 식습관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행동은 신체가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는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섭식 장애는 심장, 소화기 계통, 뼈, 치아 및 구강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다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국내 첫 섭식장애 인식 주간 - 납작하지 않은 섭식장애  

 2023년 국내에서 첫 섭식장애 인식주간이 시작됩니다. 인제대학교 섭식장애 정신건강연구소와 잠수함 토끼 콜렉티브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7일간의 행사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토크가 이루어지며 전체 세션은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번 인식 주간의 슬로건은 [납작하지 않은 섭식장애]입니다. 절식, 폭식, 구토의 증상을 지금까지 선정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쳐왔던 기존의 인식을 역동적이고 복잡한 문제로 성찰해 봐야 한다는 의도입니다. 



대한민국 최초 섭식장애 인식주간 인제대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제공

많은 이들의 지지가 필요한 이유

 섭식 장애는 스스로 관리하거나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사실상 한 사람의 삶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섭식 장애가 있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이 식습관, 체중, 혹은 체형에 지나치게 신경 쓰면서도 문제가 있음을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관심을 표현함으로써 수치심, 낙인, 침묵을 깰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종료

NOON과 함께 눈 굴릴 사람을 찾습니다.당신의 응원과 지지로 함께해주세요.

저도 이 캠페인을 지지합니다.

당신은 이 캠페인의 눈사람입니다. 함께 눈 굴린 눈사람 6명 캠페인 진행 기간 : 2023-02-27 ~ 2023-03-20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BS M&C노컷뉴스 X 공공소통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CBSMC 노컷뉴스 X 공공소통연구소
눈이 내리는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