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큰 문제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4,600만 명의 사람들이 기억, 인지, 지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불안과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쇠약 상태로 진단받고 있습니다. 2050년까지 치매 환자의 수는 1억 3,15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국내 65세 이상 노인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하며,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은 19조 원에 가깝다고 중앙치매센터는 2022년 밝혔습니다.
치매 관리 비용(2021년 기준). 중앙치매센터 제공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나라
치매관리법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대한민국은 치매의 예방, 치매환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 및 치매 퇴치를 위한 연구 등 관련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 시행하기 위해 치매관리법이 제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치매환자에 대한 지원사업은 주로 의료비 지원과 치매환자의 가족을 위한 상담,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매환자에 대한 특히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의 주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치매에 대한 진단, 보호, 관리, 권익보호 등이 주요 지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치매환자에 대한 프로그램과 치매관리사 교육자료를 살펴보더라도 치매환자 신체를 돌보는 것과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활동 프로그램에 치중되어 있는 편입니다. 치매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기억의 감퇴, 방금 일어난 일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 때문일까요? 신체 위주의 활동과, 인지 재활 측면에서의 돌봄, 치료보다 우리가 먼저 관심 가져야 할 것은 바로 치매환자에 대한 감정에 대한 돌봄입니다.
치매환자는 이성적 기억은 쉽게 사라지지만, 서운하거나 화, 억울함 등 부정적 감정에 대한 기억은 남아 있으므로 치매 환자가 편안한 기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환자 돌봄의 방법입니다.
치매 환자의 삶에 도움을 주는 디자인 연구 프로젝트 영국의 카디프 메트로폴리탄 대학교(Cardiff Metropolitan University)의 한 연구팀은 HUG라는 놀이 장치를 사용하여 중증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CARIAD(Centre for Applied Research in Inclusive Arts and Design)의 캐시 트레더웨이 교수와 동료들이 이끄는 LAUGH 프로젝트(
www.laughproject.info)가 바로 그들입니다.
이 팀은 중증 치매 환자들이 즐겁고, 편안하게 참여하고, 그들에게 기쁨을 주고, 순간의 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몸짓과 촉각을 이용한 일련의 혁신적인 놀이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HUG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 hug.world 제공
HUG를 안고 있는 Thelma. hug.world 제공 대화형 치료 인형 HUG는 치매 환자에게 편안함과 위안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감각 장치로 껴안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포옹의 감각을 재현하는 무게가 있는 팔다리와 부드러운 몸체 안에 시뮬레이션 된 심장 박동과 좋아하는 음악이나 소리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증 치매를 앓고 있는 많은 요양원 거주자들은 시간 대부분을 의자 또는 침대에서 보내며,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방문자가 거의 없습니다. 말기 치매 단계에 있는 델마(Thelma)는 거의 말하고 먹지 않았고 의자에 묶여 있었고 다른 거주자들과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LAUGH 연구팀은 그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포옹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치매가 진행됨에 따라 사람들은 더욱 고립되고 위축되고, 때로 동요하며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포옹을 주고받는 차분한 느낌은 치매 진행 단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편안함, 연결성, 의미를 가져다줄 수 있으며, 진정, 위안 및 불안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려 디자인이란?
HUG는 간병인, 의료 전문가 및 치매 환자의 도움과 알츠하이머 협회(alzheimers.org.uk)의 조언에 따라 '배려 디자인(Compassionate Design)'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것은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배려와 친절을 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심에 둔 것으로 세 가지 구성 요소를 우선순위로 합니다.
1) 개인의 자아와 존엄성을 유지하는 개인 맞춤 디자인
2) 과거나 미래의 생각이 필요하지 않은 현재를 경험하게 하는 감각적 디자인
3) 타인과의 고급스러운 연결을 장려하는 디자인
이 3가지 구성요소를 통해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의 복잡한 요구를 충족하고자 합니다. 배려 디자인은 Cardiff Met에서 발전시킨 방법론으로 영국을 비롯해 네덜란드, 벨기에, 호주 및 미국의 디자인 및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수업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HUG 프로젝트가 가져온 결과는? HUG 프로토타입은 설계 대상자였던 델마(Thelma)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전문 간병인과 가족에 따르면 이후 델마는 더 이상 넘어지지 않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기 시작했고, 다시 말을 했으며, 전반적인 건강과 식사도 개선되었습니다.
임종 돌봄을 받았음에도 그녀는 HUG를 만난 후 9개월을 더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이후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의 연구에서도 6개월 동안 HUG를 사용한 사람들 중 87%의 삶의 질을 향상되었으며, 치매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대화를 장려하며 위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누가 나를 위로해 주나요?
우리는 이미 포옹의 효과를 잘 알고 있습니다. 프리허그처럼 현대인의 정신적인 상처를 치유하는 행위가 이슈가 된 것도 포옹의 힘을 잘 알기 때문일 것입니다. 누구나 때로는 포옹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단순한 일이지만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HUG 프로젝트의 스핀아웃 회사인 HUG by LAUGH는 현재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등에서 국가의 요청으로 설립되어 HUG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000개가 넘는 HUG가 전 세계에 배송되었으며, 영국의 국민보건서비스(NHS)에서는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치매관리법에 의거한 치매환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 지금까지 치매 예방이나 관리에 목소리를 높여 왔다면, 이제부터라도 치매 환자들의 감성적 치유에 관심 가져야 할 때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