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의 주변에서 아이들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어떻게', '왜' 아이들이 사라졌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아이들이 없는 대한민국에서는 과연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신생아가 태어나지 않는다면 자연스레 육아용품, 분유, 이유식 산업이 사라질 것이며,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들도 모두 실업자가 될 것이다. 또,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도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자연스레 중고등학교, 대학, 대학원도 꽃이 피는 봄이 와도 문을 열 수 없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의 안보에서도 불안함을 감출 수 없을 것이다. 더 이상 징집제를 유지하지 못하고, 모병제 혹은 용병을 써 국방의 안전을 담보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래픽=유보리 PD 당연하게도 아이들이 사라진 세상에서는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만큼 노인 인구를 위한 요양비, 의료비 등의 사회적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생산인구의 감소로 생산과 소비, 매출이 모두 줄어 점점 더 깊은 경제난에 빠지게 될 것이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2022년 기준 약 24%의 '노인 부양비'는 2070년이 되면 100%를 넘을 것이라는 자료도 발표됐다.
아이들이 사라진 세상,
자녀들의 웃음소리, 울음소리도 들을 수 없는 대한민국의 미래.
우리는 '지금'부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BS M&C노컷뉴스 X 공공소통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