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바다와 함께하는 어촌마을 워케이션, 올해도 계속됩니다

reorder search

캠페인 chevron_right 환경

푸른 바다와 함께하는 어촌마을 워케이션, 올해도 계속됩니다

  • 2024-02-07 16:30:22
  • 0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URL

23년 어촌마을 워케이션 참가자 450명 달성, 참가자 86%가 긍정적 만족

어촌마을 워케이션. 한국어촌어항공단 제공
서울시 성동구 소재의 컨설팅회사에 재직 중인 최 씨는 지난해 회사의 지원을 받아 어촌마을 워케이션에 참여했다. 그는 “도심 속 일상적인 업무 형태에서 벗어나 바다와 갯벌이 함께하는 어촌의 특별한 사무공간에서 업무의 창의성을 높이고, 지친 심신을 달랠 수 있었다”고 회자했다. 푸른 바다를 보며 일과 휴가를 동시에 즐기는 어촌마을 워케이션이 근로자들 사이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어촌마을 워케이션. 한국어촌어항공단 제공
한국어촌어항공단(이사장 박경철, 이하 공단)은 2023년 어촌마을 워케이션 지원사업을 마무리하며, 국민수요와 관광 트렌드에 대응한 새로운 관광모델이 어촌마을에 잘 도입되어 자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어촌마을 워케이션은 ’22년에 어촌체험휴양마을 6개소로 시범운영 되어 도시 근로자 255명이 참가해 6천여 만 원 이상의 마을 소득을 창출했다. '23년에는 관계기관 간 협력하여 대상지를 11개소로 확대하였고, 공유 오피스의 사무 가구와 마을 내 전기자전거, 마을 숙박의 매트리스 등을 구매‧지원하면서 인프라 품질을 높여 이용 고객의 편의를 제고했다.

어촌마을 워케이션. 한국어촌어항공단 제공
그 결과 ’23년 프로그램에는 신년 예약자를 포함해 450명의 도시 근로자 및 개인이 참가하여 1억 2백여 만 원 이상의 마을 소득을 높이는 등 성과를 나타냈다. 갯벌 체험 등 여름 성수기 주말에 가족 단위로 집중되었던 어촌관광이 워케이션을 통해 사계절 비수기 주중에도 도시 근로자를 고객으로 유치하면서 어촌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이는 어촌체험휴양마을 고객의 범위를 다양하게 확대하고, 마을의 소득 창구를 다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어촌마을 워케이션. 한국어촌어항공단 제공
참가한 기업의 형태는 스타트업(60.3%)이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이 뒤를 이었다. 업종은 IT(50.7%)와 서비스(32.9%)업이 많았으며, 연령대는 30대(50.7%)와 20대(32.9%)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설문에 참여한 참가자 86%가 어촌마을 워케이션에 대한 긍정적인 만족도를 표현했으며, 68%가 어촌마을에 재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향후 공단은 어촌마을 워케이션이 새로운 관광모델로서 어촌마을에 도입되어 자립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업대상지 점검과 운영진 매뉴얼 교육, 현장 컨설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고객 분석과 모객 마케팅 등을 통해 사업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최효정 공단 어촌진흥실장은 “도시권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워케이션 문화와 아름다운 바다 경관의 어촌마을이 만나 근로자에게 색다른 업무환경이자 치유의 공간을 선물하고 있다”라며, “새로운 수요와 트렌드에 맞는 관광모델을 지속해서 개발‧운영하여 어촌마을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종료

NOON과 함께 눈 굴릴 사람을 찾습니다.당신의 응원과 지지로 함께해주세요.

저도 이 캠페인을 응원합니다.

당신은 이 캠페인의 눈사람입니다. 함께 눈 굴린 눈사람 3명 캠페인 진행 기간 : 2024-02-07 ~ 2024-08-31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BS M&C노컷뉴스 X 공공소통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CBSMC 노컷뉴스 X 공공소통연구소
눈이 내리는 뉴스레터 구독!